[su_note note_color=”#f8f8f0″ radius=”7″]대전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원(KAIST)은 최근 국내외 기술 선도 기업인 네이버와 인텔과 함께 인공지능(AI)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 ‘NAVER·intel·KAIST AI 공동연구센터'(NIK AI Research Center) 설립을 발표했습니다. 이 연구센터는 2024년 상반기 중에 설치되어 7월부터 본격적인 연구 활동을 시작할 예정입니다.[/su_note]
[su_heading size=”27″ align=”left” margin=”40″]연구센터의 주요 목표와 계획[/su_heading]
NIK AI 공동연구센터의 설립은 국내 기술 발전에 큰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인텔은 이번 협약을 통해 자사의 인공지능 학습 및 추론용 칩인 ‘가우디'(GAUDI)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하며, 다양한 산학 연구과제를 진행할 계획입니다. 이 연구센터에서는 자연어 처리와 기계학습 등의 인공지능 분야에 초점을 맞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이 주를 이룰 예정입니다.
[su_heading size=”27″ align=”left” margin=”40″]협업의 중요성[/su_heading]
이번 공동연구센터의 설립은 네이버, 인텔, 그리고 KAIST 각각의 기술 및 자원을 통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 네이버는 ‘하이퍼클로바X’와 같은 자체 거대언어모델을 통해 인공지능 생태계를 확장하고자 하며, KAIST는 인공지능 개발과 반도체 설계 및 운영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기술 노하우를 확보하게 됩니다. 이는 대규모 데이터센터 운영 경험과 인공지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에도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.
[su_heading size=”27″ align=”left” margin=”40″]네이버, 인텔, KAIST 협업의기대 효과[/su_heading]
KAIST 총장 이광형 박사와 인텔, 네이버의 관계자들은 이 공동연구센터가 글로벌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 특히, 이 연구센터는 국내 인공지능 기술의 국제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고, 관련 분야의 전문 인재 양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[su_heading size=”27″ align=”left” margin=”40″]NIK AI 공동연구센터 미래 전망[/su_heading]
이러한 협력은 미래의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, 세계적인 기술 허브로서의 대한민국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. 이 연구센터를 통해 개발된 기술들이 어떻게 다양한 산업에 적용될지, 그리고 우리의 일상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기대해 보는 것도 흥미로운 점입니다.
[su_heading size=”27″ align=”left” margin=”40″]마무리[/su_heading]
이번 공동연구센터의 설립은 과학기술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, 향후 대한민국이 글로벌 기술 무대에서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더욱 풍부하게 할 것입니다. 이는 국내 기술 기업과 학계가 손을 잡고 새로운 미래를 그리는 모범 사례로서,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기에 충분합니다.
신기술로 풍요로운 일상을: 복합지능 자율행동체 SW 개발로 본격적인 돌봄 혁신 시작!
All-Lifes에서 더 알아보기
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.